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 NER)

민중 민중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 NER)

개체명 인식(NER)이란?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은 말 그대로 문장에서 ‘이름을 가진 개체(named entity)’를 ‘인식(recognition)’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체명 인식의 정의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제공하는 정보통신용어사전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리 정의해 둔 사람, 회사, 장소, 시간, 단위 등에 해당하는 단어(개체명)를 문서에서 인식하여 추출 분류하는 기법. 추출된 개체명은 인명(person), 지명(location), 기관명(organization), 시간(time) 등으로 분류된다. 개체명 인식(NER)은 정보 추출을 목적으로 시작되어 자연어 처리, 정보 검색 등에 사용된다.

※ 예 : 철수[인명]는 서울역[지명]에서 영희[인명]와 10시[시간]에 만나기로 약속하였다.

일반적으로 개체명(Named Entity, NE)은 2가지로 분류됩니다.

1) 일반적인 개체명(Generic NEs)으로 인물이나 장소 등의 명칭이 이에 해당합니다.
2) 특정 분야 개체명(Domain-specific NEs)으로 전문 분야의 용어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적인 개체명(Generic NEs)에 대해서만 다룹니다.

개체명 인식(NER)의 태깅 시스템


데이터셋마다 적용하는 태깅 시스템이 각각 다르지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태깅 시스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sentence1

이 문장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개체명을 찾을 수 있습니다. sentence2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개체명을 단어 별로 토큰화하여 각각 태그를 붙여줘야 합니다.

BIESO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토큰으로 이루어진 개체명이 시작할 때 ‘B(begin)’, 토큰이 개체명 중간에 있을 때 ‘I(inside)’, 개체명의 마지막에 위치할 때는 ‘E(end)’를 붙여줍니다. 개체명이 하나의 토큰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는 ‘S(singleton)’을 붙여줍니다. 토큰이 개체명이 아닐 경우에는 ‘O(outside)’를 붙여줍니다.

BIESO 시스템을 위의 예시에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entence3

BIO 시스템은 BIESO 시스템에서 E는 I로, S는 B로 단순화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태깅 시스템입니다.

BIO 시스템을 위의 예시에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entence4

개체명 인식(NER) 대표 데이터셋


NERdataset 논문[1] ‘A Survey on Deep Learning for Named Entity Recognition’에 제시된 ‘List of annotated datasets for English NER’

개체명 인식을 위한 대표적인 데이터셋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데이터셋에 따라 NE type의 수가 다릅니다.

영어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셋이 있습니다.

  1. CoNLL-03(3개) : PER, ORG, LOC

  2. OntoNotes5(18개) : PERSON, NORP, FACILITY, ORGANIZATION, GPE, LOCATION, PRODUCT, EVENT, WORK OF ART, LAW, LANGUAGE, DATE, TIME, PERCENT, MONEY, QUANTITY, ORDINAL, CARDINAL

한국의 경우, 한국정보기술협회(TTA)에서 내놓은 15개의 카테고리를 한국어 NER 카테고리의 표준으로 제시합니다.
인물(PS), 학문분야(FD), 이론(TR), 인공물(AF), 기관(OR), 지역(LC), 문명(CV), 날짜(DT), 시간(TI), 수량(QT), 이벤트(EV), 동물(AM), 식물(PT), 물질(MT), 용어(TM)

하지만 실무에서는 데이터셋에 따라 이것을 조금씩 변형하여 사용합니다.

  1. 국립국어원(5개) : 장소(LC), 날짜(DT), 기관(OG), 시간(TI), 인물(PS)

  2. 부산해양대학교 자연어처리 연구소(10개) : 인물(PER), 기관(ORG), 지명(LOC), 기타(POH), 날짜(DAT), 시간(TIM), 기간(DUR), 통화(MNY), 비율(PNT), 기타 수량표현(NOH)

  3. Naver NER Challenge(14개) : 인물(PER), 학문분야(FLD), 인공물(AFW), 기관 및 단체(ORG), 지역명(LOC), 문명 및 문화(CVL), 날짜(DAT), 시간(TIM), 숫자(NUM), 사건 사고 및 행사(EVT), 동물(ANM), 식물(PLT), 금속/암석/화학물질(MAT), 의학용어/IT관련 용어(TRM)

딥러닝을 활용하여 개체명 인식(NER)을 해야하는 이유


  1. 자동으로 feature들을 추출하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합니다.

  2. 비선형 transform으로 복잡한 feature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MM, CRF와 같은 선형 모델과 비교하여 딥러닝 모델은 더 복잡하고 정교한 특성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3. end-to-end 학습이 가능하다.
    gradient descent를 통해 일련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오로지 신경망에 학습을 맡길 수 있습니다.
    즉, 데이터를 넣어서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 개체명 인식(NER) 모델의 구조


논문[1]에서 딥러닝 기반 개체명 인식(NER) 모델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taxonomy

  1. Distributed Representations for Input
    입력 단어를 저차원의 벡터로 함축시키는 과정
    Pre-trained word embedding, Character-level embedding, POS tag, Gazetteer model-structure1
  2. Context Encoder (for capturing contextual dependencies for tag decoder)
    문맥 정보를 추출하여 담아내는 과정
    CNN, RNN, Language model, Transformer model-structure2
  3. Tag Decoder (for predicting labels of words in the given sequence)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을 입력으로 하고, 입력 시퀀스에 대한 태그를 붙이는 과정
    Softmax, CRF, RNN, Point network
    model-structure3

각 모델 간의 성능 비교


논문[1]에 정리된 성능 비교표를 마지막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ummary Summary of recent works on neural NER

참고자료


  1. https://arxiv.org/abs/1812.09449

comments powered by Disqus